|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orser챌린지
- 프론트엔드
- 개발자북클럽
- 웹개발
- NextJs
- 항해플러스프론트앤드
- 항해99
- Supabase
- 항해플러스 프론트앤드
- 항해플러스
- GeminiAPI 405
- plugin
- 항해부트캠프
- 사이드프로젝트
- 트러블슈팅
- book_club
- select플러그인
- 프론트앤드
- 프론트앤드개발
- 항해 플러스 프론트앤드
- 개발기록
- 항해플러스 프론트엔드
- jqueryplugin
- 노개북
- tailwindcss
- 개발회고
- 타로프로젝트
- whispersofthestars
- niceselect사용법
- 노마드코더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10/08 (1)
ㅇㅅㅇ
여섯 번째 도전기 - FSD와 TanStack Query로 코드 구조 개선하기Chapter 2-3을 마무리하며 돌아보니, 이번 주차는 그동안 배웠던 모든 것이 한 데 모이는 시간이었습니다.4주차에서 더티코드를 리팩터링하며 "코드를 어떻게 나눠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답을 찾았고, 5주차에서는 "컴포넌트를 언제 분리해야 할지, 상태 관리는 어떤 기준으로 해야 할지"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이번 6주차는 "코드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가?"라는 새로운 고민을 마주하게 된 시간이었습니다.항해기간의 절반을 지나니 컨디션 난조로 언제나 괴발새발했던 한 주였지만 FSD(Feature-Sliced Design) 아키텍처와 TanStack Query를 학습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코드를 나누는 것..
항해99 플러스 프론트앤드/10주 과정
2025. 10. 8. 23:51